경제분야

암호화폐란 무엇인가?

제이드킹 2023. 5. 20. 10:00
728x90
반응형

1. 암호화폐의 정의와 특징 

암호화폐는 '암호화'라는 뜻을 가진 'crypto-' 통화란 뜻을 가진 'currency' 합성어로, 분산 장부 (Distributed Ledger)에서 공개키 암호화 통해 안전하게 전송하고, 해시 함수 이용해 쉽게 소유권을 증명해 있는 디지털 자산 이다.

암호화폐는 중앙 기관이 존재하지 않는 분산화된 구조로, 사용자들의 합의에 의한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관리되며 발행된다.

암호화폐는 원래 재화교환의 매체, 지급수단으로 고안된 것이지만, 액면가가 없고 투자의 목적이 되어 거래소를 통하여 시장의 수급에 따라 형성되는 가격으로 거래되어 소득 또는 손실이 발생한다. 이러한 점에서 암호화폐는 재화성을 함께 가지는 특수한 지급수단이라 있다. 

 

- 출처 위키백과

비트코인

2. 암호화폐의 종류와 예시 

암호화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각의 특징과 목적이 다르다. 대표적인 암호화폐로는 비트코인 , 이더리움 , 리플 , 카르다노 , 도지코인 등이 있다. 비트코인은 최초의 암호화폐로, 2008 10 31일에 공개된 논문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 바탕으로 2009 1 3일에 블록이 만들어졌다.

비트코인은 P2P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 기관 없이 거래가 이루어지며, 작업 증명 (Proof of Work) 방식으로 새로운 블록이 생성되고 보상이 주어진다. 비트코인은 발행량이 2100 개로 한정되어 있으며, 현재 가장 시가총액이 크고 인지도가 높은 암호화폐이다.

 

이더리움은 비트코인에서 영감을 받아 비탈릭 부테린 2013년에 고안한 스마트 컨트랙 - 디지털 형식으로 표현된 약속의 집합 - 블록체인 필드에 적용하여 탄생한 암호화폐이다. 

 

리플은 2012년에 라이언 퍼거슨 (Ryan Fugger)이 개발한 암호화폐로,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리플은 XRP라는 화폐 단위를 사용하며, 작업 증명이나 지분 증명과 같은 채굴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합의 알고리즘 (Consensus Algorithm)을 통해 거래가 이루어진다. 

리플은 은행이나 결제 서비스 제공자와 같은 기관들과 파트너십을 맺어 신속하고 저렴하게 국제 송금을 가능하게 한다.

카르다노는 2015년에 찰스 호스킨슨 (Charles Hoskinson) 이더리움의 공동 창업자로서 탈퇴한 후에 개발한 암호화폐로, 학계와 산업계의 협력을 통해 과학적 기반으로 만들어진다고 주장한다.

 

카르다노는 에이다라는 화폐 단위를 사용하며, 지분 증명 (Proof of Stake) 방식으로 새로운 블록이 생성되고 보상이 주어진다. 카르다노는 스마트 컨트랙과 분산 어플리케이션 (DApp) 지원하며, 보안성과 확장성을 강화하기 위해 다층 구조를 가진다.

 

도지코인은 2013년에 빌리 마쿠스 (Billy Markus) 잭슨 팔머 (Jackson Palmer) 개발한 암호화폐로, 인터넷 밈인 도지 (Doge) 모티브로 한다. 도지코인은 도지라는 화폐 단위를 사용하며, 작업 증명 방식으로 새로운 블록이 생성되고 보상이 주어진다. 도지코인은 발행량이 한정되어 있지 않으며, 비교적 빠른 거래 속도와 낮은 수수료를 가진다. 도지코인은 원래 농담 삼아 만들어진 암호화폐였으나, 인터넷 커뮤니티의 지지와 유명인사의 영향으로 인기가 상승하였다.

 

-출처 위키백과

 

3. 암호화폐의 장점

중앙 기관의 개입 없이 자유롭게 거래할 있다. 암호화폐는 중앙 기관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정부나 은행 등의 제한이나 간섭을 받지 않고 P2P 방식으로 거래할 있다. 이는 국제 송금 시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있다

 

거래 비용이 저렴하고 속도가 빠르다. 암호화폐는 중개자가 없고,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 거래되므로, 전통적인 금융 시스템보다 거래 비용이 저렴하고 속도가 빠르다. 특히 국경을 넘는 거래의 경우에는 수수료나 환율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

 

 거래의 투명성과 보안성이 높다. 암호화폐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모든 거래가 공개적으로 기록되고 검증되므로, 거래의 투명성이 높다. 또한 암호화폐는 공개키와 개인키를 이용하여 거래를 인증하므로, 해킹이나 도난의 위험이 낮다.

 

다양한 응용 가능성이 있다. 암호화폐는 단순히 지급수단으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 컨트랙이나 NFT (Non-Fungible Token) 같은 다양한 형태로 응용될 있다. 스마트 컨트랙은 블록체인 상에서 실행되는 자동화된 계약으로, 법적인 효력을 갖거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있다. NFT 블록체인 상에서 고유한 소유권을 증명하는 디지털 자산으로, 예술, 게임, 스포츠 등에 활용될 있다.

 

4. 암호화폐의 단점

가격 변동성이 크다. 암호화폐는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므로, 다양한 요인에 의해 가격 변동성이 크다.

예를 들어, 규제의 부재나 불확실성, 해커의 공격, 유명인사의 발언 등은 암호화폐의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는 암호화폐를 장기적인 가치 보관수단으로 사용하기 어렵게 하며, 투자자들에게 큰 위험을 안겨줄 수 있다.

 

법적·제도적 보호가 부족하다. 암호화폐는 중앙 기관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법적·제도적으로 보호받기 어렵다. 예를 들어, 암호화폐 거래소가 파산하거나 해킹당하면 사용자들은 자신의 자산을 회수하기 어렵다.

또한 암호화폐는 세금이나 규제 등에 관한 명확한 법률이 없거나 다른 국가마다 다르므로, 법적인 문제에 직면할 있다.

 

기술적인 문제가 존재한다. 암호화폐는 블록체인 기술에 의존하므로, 기술적인 문제가 발생할 있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의 확장성 문제는 거래량이 증가할수록 거래 속도가 느려지고 수수료가 증가하는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블록체인의 보안성 문제는 51% 공격이나 이중 지불 공격과 같은 위협에 노출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암호화폐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저해할 있다.

 

 

- 출처 디지털 화폐와 암호화폐의 경제적 측면. https://happyft.tistory.com/entry/%EB%94%94%EC%A7%80%ED%84%B8-%ED%99%94%ED%8F%90-%EC%95%94%ED%98%B8%ED%99%94%ED%8F%90-%EA%B2%BD%EC%A0%9C%EC%A0%81-%EC%B8%A1%EB%A9%B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