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분야

미국금리 불안한 이유?

제이드킹 2023. 6. 2. 07:29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도 미국금리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저번 글에서 6월 금리가 동결될 가능성이 많다고 하였습니다. 
미연준 의장 파월의장이 은행권의 불안으로 대출이 쉽지 않은 상태에서
통화정책에서 무리하게 금리인상의 불필요 하다고 말하였습니다. 

 

 

현재의 미국의 시장은?

현재의 미국은 은행권 위기가 어느정도 해소되어 가고 있으며 미국경제가 탄탄하고 경기가 좋아지고 있어 
연준은 긴축 사이클을 중단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 말은 미국의 경제 사정이 좋아져 돈의 흐름이 많이 지고 있다는 소리입니다. 
 
또한 인플레이션 압박과 노동시장의 과열 또한 연준의 금리 인상 의지를 높이고 있습니다. 
물가 상승으로 인한 구매력 감소를 의미하며,
노동시장 과열은 실업률이 낮아지고 임금이 상승하는 상황을 말하고 있습니다. 
이런 요인들로 연준이 경제를 안정화 하고 인플레이션을 조절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는 의지를 강화시킬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시장 참가자들은 연말의 금리 인하가 있을 것을 전망을 지금은 그 전망이 조정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항상 연준의 경고를 받아드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결국 시장 참가자들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미국 금리인상의 우려 

결국 미국 시장의 영향으로 첫번째 원/달러 환율상승되었습니다. 
미국시장의 부동산 가격이 2달 째 반등하고 있는 영향도 있습니다. 
왜 미국 부동산 가격이 오르면 금리랑 무슨 연관일까 궁금해 하시는 분도 계실 텐데...
그건 나중에 한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인플레이션 문제로 연준의 기준 금리를 인상하는 쪽으로 가고 있습니다. 
 
그 이유로는 미연준에서 4월 (개인소비지출)PCE물가 전망치인 4.4%보다 높게 나온 4.7%으로 나왔다고 합니다. 
이것은 미국 사회의 인플레이션이 전반에 깔려있구나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하여 우선은 금리를 올리자란 반응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미국의 여러 경제 석학들은 금리로 우선 인풀레이션을 막고자 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결국 많은 사람들은 금리만 올리는 것으로 인플레이션을 잡을 땐 거기에 따른 부작용도 많이 발생되므로 
세입확대나 이전지출 축소등 진축적 재정 정책도 동반되어야 된다라는 말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번 미국의 연준에 금리 발표가 주목됩니다. 
 
이번 미국 기준의 금리 발표는 6월 15일 오전 3시에 발표될 예정입니다 
과연 연속 11회 계속 금리를 인상할까요? 
 
 
 
 

반응형